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공부] 주식 선택하는 법 (나만의 스토리 만들기)

by 에쓰오디 2022. 12. 15.
반응형

주식에는 많은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 정부의 정책, 세계의 경제정책, 금리, 세계화 트렌드 등등등.. 경제 흐름에 모든 것을 반영하여 예측하는 것은 너무 어려운 일이고 정확하지도 않다. 그럼 어떤 방법들을 활용해서 어느 정도 예측하고 또 그에 맞는 주식을 선택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1. 과거에 있었던 일들은 되풀이된다. 미래를 쉽게 예측하고 싶으면 과거애 어떻게 지나왔나 알아보고 그것에 맞춰서 그림을 그려본다.


그럼 지금처럼 경기침체된다는 말이 쏟아지는 상황은 언제 와 비교하면 될까? 딱 떠오르는 건 IMF와 2008 경제위기 때다.
그러면 그 다음은? 지금 상황과 다른 건 뭔지 그 차이점을 생각해보고 적용할 부분들만 쏙 빼내서 적용하면 된다. 너무 귀찮지만 대부분 부자들은 이 방법이 옳다고 믿고 이런 식으로 공부하고 또 사람들에게 설명하더라.

 

반응형


2. 하나의 주제로 그림을 그려본다. 예를들어 물가는 잡히지 않고 연준은 경기침체를 무릅쓰고 계속해서 금리를 올린다. 중소기업들은 적자로 전환되고 현금을 쌓아두지 않았던 기업들은 도산되는 그림. 이런 상황에서는 현금이 많은 기업, 경기가 어려워도 이익을 올릴수있는 기업, 경기민감주보다는 필수제, 또는 수요가 계속 있을 수밖에 없는 업종에 투자해야 한다.

 

하나의 케이스를 잡았다면 이번엔 어느 입장에 서볼 것인지 정한다. 쉬운 건 소비자의 입장이다. 하나 생각해보자.;

 

일단 가장 쉬운건 경기가 좋던 안 좋던 무조건 써야 하는 것들. 예를 들면 cj제일제당, 농심처럼 햇반, 라면, 식용유 등등 먹지 않고 살 수는 없으니까 식품주가 떠오른다. 그리고는 통신, 전기는 돈을 아낀다고 해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들. 한전이나 LG유플러스 같은 통신사들을 떠올릴 수 있겠다. 그럼 담배는? 10년 전에 담배가 2500원에서 4500원으로 오른다고 했을 때 처음엔 그러면 담배를 누가 피우냐고 했지만 지금은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다 핀다. 심지어 요즘엔 액상 전자담배도 많이 펴서 돈을 더 많이 쓴다. 그럼 KT&G 같은 회사나 전자담배 회사들도 생각해볼 수 있겠다.

 

 

[주식공부] 하이트진로 분석

경기침체가 100% 올것이라고 예측하는 모건스텐리. 23년은 경기침체가 거의 확실시 된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는 멈추어서는 안된다. 주식과 채권에 분산해야겠지

izi-economy.tistory.com

아니면 경기힘들면 엄한데 돈 안쓰니까 자동차, 여행, 항공에 돈 덜 쓰고 영화도 집에서 보고 호텔도 덜 가야겠다고 생각할 수 있겠고, 그럼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영화도 밥도 집에서 해결하려고 노력할 수 있다. 배달비는 비싸니까 배달도 줄이고 가능한 해 먹으려고 하겠지? 식품주가 떠오르고 요리 유튜브 많이 볼 거니 요리 유투버들한텐 잘된 일이겠다는 생각. 

영화 집에서 보려면 넷플릭스같은 OTT회사들 생각. 

밖에 안나가니까 옷, 화장품 덜 쓰는 대신 집에 있는 동안 사람 만나지 않아도 되니 이참에 이뻐지자 싶어서 집에서 피부 케어할지도? 피부과에 장비 납품하는 회사들 알아볼 수 있겠다. 이거 뭔가 코로나 때와 비슷한 거 같은데 코로나 초기 때 주목받은 기업은 어떤 기업들이 있지?

 

이런 식으로 쭉쭉쭉 상상에 상상을 더해가며 나열해본다. 그중에 관심이 가는 셉터(산업)를 하나씩 파고들고 네이버금융에서 업종별로 나열되어있는 주식들을 살펴보면서 매수할지 말지 정해 본다. 생각해보면 귀찮은 작업이지만 그래도 남들의 추천만 듣고 무작정 사버리는 경우보다 내 주식에 대한 믿음이 훨씬 깊고 오래간다. 이 믿음은 이런 유동성이 많은 장에서는 내 주식을 지킬 수 있는 중요한 무기다. 

 

 

 

LG이노텍 알고보니 자율주행관련주?

LG이노텍이 22.12.13기준 28만원까지 내려와있다. 기관들의 목표 주가는 34만원에서 40만원 초까지 다양하다. LG이노텍은 흔히 아이폰에 들어가는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만 알고 있다. 애

izi-economy.tistory.com

 

 

LG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선도 기업

lg디스플레이는 세계디스플레이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와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는 기업. 경기침체, 코로나 특수 종료, 금리인상 등으로 수요가 코로나시기 대비 떨어져 적자를 달리고 있는데

izi-economy.tistory.com

 

반응형

댓글